반응형
## SID (System Identifier) = DB 하나의 인스턴스
- 인스턴스의 식별자 (인스턴스 이름)
- SID는 오라클 DB에서 유니크한 이름
- 한 서버에 여러 개의 인스턴스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인스턴스마다 다른 SID 지정
## SERVICE_NAME (데이터베이스 이름) = 여러개의 인스턴스를 모아 하나의 서버 혹은 시스템을 구성한것
- 네트워크 내에서 데이터베이스를 특정하기 위한 명칭 ( TNS alias )
- RAC (Real Application Clusters) 같이 여러 인스턴스를 하나의 DB로 서비스하는 경우 SID는 다르지만 모두 같은 Service Name을 사용
※ RAC 에서만 구분
- Service_name은 로드 밸런싱을 할 경우
- SID는 특정 인스턴스로 이동하고 싶을 경우
- RAC에서 특정 SID로 접속하고 싶을 경우 tns에서 Service_name 대신 SID = '접속하고자 하는 인스턴스 이름' 으로 설정
## Connection
- 연결(커넥션)은 클라이언트 프로세스와 데이터베이스 인스턴스 간의 물리적 경로
## Session
- 인스턴스안에 있는 논리적인 실체로 현재 유저의 로그인 상태
- 사용자가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에 접속을 하게 되면 세션이 생성
- 이 세션은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에서 접속 종료까지 계속 유지
## Process
- ps 명령어로 확인 가능
- 서버 프로세스는 사용자 프로세스와의 통신과 사용자 프로세스의 요구 사항을 수행하는 Oracle과의 상호 작용을 담당
- 클라이언트가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게 되면 클라이언트 쪽에는 사용자 프로세스가 생성되고 오라클 서버 쪽에는 서버 프로세스가 생성
※ 사용자 프로세스 : 서버 프로세스로부터 실행결과를 받는 역할, 작성된 SQL 문장을 서버 프로세스에 전달
※ 서버 프로세스 :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접속할 때 생성, 사용자 프로세스에서 받은 SQL문을 문법체크나, 권한 체크 등을 수행
※ 백그라운드 프로세스 : 인스턴스가 시작될 때 생성
▶ 세션과 프로세스 수 확인
SQL> set linesize 200;
SQL> select * from v$resource_limit
2 where resource_name in ('processes','sessions');
RESOURCE_N CURRENT_UTILIZATION MAX_UTILIZATION INITIAL_ALLOCATION LIMIT_VALUE CON_ID
---------- ------------------- --------------- -------------------- --------------- ----------
processes 66 89 320 320 0
sessions 80 122 504 504 0
SQL>
위 명령어로 현재 세션과 프로세스 수 확인 가능
## v$resource_limit
current_utilization : 현재 사용중인 resource 수
max_utilization : Instance가 시작된 이후 최대 사용된 수
initial_allocation : 초기 할당값
limit_value : 제한 값
▶ 상세한 세션 내용 확인
SQL> col username format a30
SQL> col program format a30
SQL> select username, program from v$session;
USERNAME PROGRAM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oracle@HORA19C (PSP0)
SYS oracle@HORA19C (OFSD)
oracle@HORA19C (SVCB)
oracle@HORA19C (LGWR)
oracle@HORA19C (SMON)
oracle@HORA19C (LREG)
oracle@HORA19C (MMON)
oracle@HORA19C (TT00)
oracle@HORA19C (ARC1)
oracle@HORA19C (M000)
oracle@HORA19C (AQPC)
oracle@HORA19C (M002)
oracle@HORA19C (W003)
oracle@HORA19C (W005)
oracle@HORA19C (W006)
oracle@HORA19C (VKTM)
oracle@HORA19C (GEN1)
oracle@HORA19C (SCMN)
oracle@HORA19C (PMAN)
oracle@HORA19C (LG00)
oracle@HORA19C (SMCO)
oracle@HORA19C (W001)
SYS sqlplus@HORA19C (TNS V1-V3)
oracle@HORA19C (ARC2)
oracle@HORA19C (CJQ0)
oracle@HORA19C (M003)
oracle@HORA19C (M004)
oracle@HORA19C (W007)
oracle@HORA19C (PMON)
oracle@HORA19C (GEN0)
oracle@HORA19C (SCMN)
oracle@HORA19C (DBRM)
oracle@HORA19C (DIA0)
oracle@HORA19C (CKPT)
oracle@HORA19C (RECO)
oracle@HORA19C (PXMN)
oracle@HORA19C (ARC0)
oracle@HORA19C (ARC3)
oracle@HORA19C (W002)
oracle@HORA19C (W004)
oracle@HORA19C (Q003)
oracle@HORA19C (TT01)
oracle@HORA19C (CLMN)
oracle@HORA19C (MMAN)
oracle@HORA19C (DIAG)
oracle@HORA19C (VKRM)
oracle@HORA19C (DBW0)
oracle@HORA19C (LG01)
oracle@HORA19C (W000)
oracle@HORA19C (MMNL)
oracle@HORA19C (TMON)
oracle@HORA19C (TT02)
oracle@HORA19C (M001)
oracle@HORA19C (Q006)
oracle@HORA19C (QM02)
55 rows selected.
SQL>
반응형
'ORACL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인덱스 튜닝을 위한 개념정리 | 버퍼캐시 매커니즘, Latch, 통계정보, 클러스터링 팩터 (0) | 2025.02.22 |
---|---|
Orange 단축키 정리 (0) | 2023.05.29 |
ORACLE 아키텍처 및 프로세스 (0) | 2023.04.11 |